[탐나오 뉴스레터 103호] 한 주간 온라인 쇼핑과 제주 여행 관련 소식

[탐나오 뉴스레터 103호] 한 주간 온라인 쇼핑과 제주 여행 관련 소식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지원하는 제주여행 공공플랫폼 ‘탐나오‘에서 매주 월요일, 한 주간 이슈가 되었던 제주/여행/쇼핑 관련 소식을 브리핑해 드립니다. 탐나오와 함께 최신 트렌드를 확인하세요!
  제주여행 Hot Issue 
3월 여행·호캉스↑…억눌렸던 보상소비심리 ‘들썩’ – 제민일보

3월 제주 방문객 88만885명, 코로나 이전 75% 수준 회복. 패키지여행객·신혼부부 증가. 호캉스 등 개별여행상품 인기

빠른 길 대신 아름다운 길…티맵, 제주서 슬로우로드 캠페인 – 연합뉴스

여행객을 분산해 안전한 여행을 돕는 동시에 여행객이 제주의 다양한 매력을 경험하도록 하자는 취지. 슬로우로드 서비스는 제주공항, 중문, 서귀포, 성산 등 제주도 내 7개 권역을 연결해주는 50개 경로를 제공하며, 여행객들이 경로를 선택하면 티맵으로 안내.


💡 카카오모빌리티와 구글 VS 우버와 티맵모빌리티. 결국 사용자 경험을 강화하기 위한 서비스 혁신에서 누가 앞서나가느냐가 관건이겠죠.

야놀자, 모바일 강원상품권 신규 결제 수단 추가 – 지디넷코리아

4월 1일부터 가능. 런칭 기념으로 4월 한달 간 프로모션도 진행. 강원도 숙박시설 이용 시 최대 50% 숙박할인 쿠폰을 제공. 모바일 강원상품권 구매 시 최대 10% 할인 혜택을 제공할 예정이라고…


💡 No.1 Hospitality 플랫폼이 되려는 야놀자…가능성이 농후해보입니다. 부디 강원이 플랫폼기업에 종속되는 ‘우(愚)’를 범하지 않기를 바랄 뿐입니다. 

‘산으로 출근·바다로 퇴근’…강원 ‘워케이션’ 상품 선보여 – 여행신문

인터파크투어와 함께 일(Work)과 휴가(Vacation)를 동시에 즐기는 워케이션 기획전을 오픈. 일의 효율과 삶의 활력을 동시에 불어넣어 주는 역할을 해 뉴노멀 시대 새로운 근무 방식으로 주목. 강원=워케이션 최적지’라는 브랜딩을 강화할 것이라고…


💡 일본의 경우는 홋카이도를 중심으로 국가적으로 워케이션을 장려하는 분위기입니다. 워케이션이 하나의 트렌드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투숙만하는 상품 구성에서 벗어나 경험과 액티비티가 결합된 컨텐츠가 많이 나와야 할 듯 합니다.

 제주여행 뉴스 한줄 요약
여행수요 회복” 제주 소비자심리지수 3개월 연속 상승 – 연합뉴스
도내 확진자가 줄어들고, 여행수요도 회복하면서 상승세를 이끈 것으로…이끈 것으로…

“중국 청명절 연휴 간 1억명 여행” 전망 – 아시아경제
코로나19 음성 판정서 제출 의무화 해제 여파

제주관광 이끌 주인공은…J-스타트업 참가자 모집 – 뉴제주일보
총상금 1억원. 선정된 기업은 제주 대표 관광 스타트업인 J-스타트업으로 지정.

‘다양한 정보 한눈에’ 제주통계포털 운영 시작 – 제민일보
 e-제주지표, 통계지리정보 등 활용성이 높은 통계서비스를 통계청과 협업해 연계·서비스

로봇이 서빙… 앱 결제… 미래식당은 직원 제로? –
사장을 찾을 필요 없이 테이블에서 앱으로 주문과 결제가 이뤄져

그랜드하얏트제주 완판 행진, 현대홈쇼핑서도 9000여실 매진 – 스포츠동아
CJ오쇼핑, 현대홈쇼핑까지 누적 2만5000실 기염.

AR 증강현실로 홍콩의 과거와 현재 동시 여행…시티 인 타임(City in Time) 첫선-티티엘뉴스
해당 장소의 사진과 역사를 비롯한 정보들도 검색

이마트 몰리스, ‘펫팸족’ 위한 여행 패키지 출시 – 라이센스뉴스
리조트 업계 1위 소노호텔앤리조트와 공동 프로모션 진행

 Weekly e-커머스 News 
네이버, 빠른 배송 넘어 맞춤형 서비스로 쿠팡과 진검승부 – 서울경제

네이버 쇼핑이 오는 7월 네이버 풀필먼트 얼라이언스센터를 열고, CJ대한통운과 이마트를 비롯해 다양한 풀필먼트 업체 및 물류 스타트업들이 동참. 네이버는 빠른 배송만으로 해결할 수 없는 다양한 배송 수요에 주목하고, 판매자와 상품별로 맞춤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온디맨드 풀필먼트를 목표로.


💡 결국 협력적 3PL을 기반으로 쿠팡과 카카오가 치고나가던 분야까지 모두 섭렵하려는 것이 네이버의 전략이군요. 무섭네요 네이버… 지그재그, ‘제트온리’ 출시…고객 경험 강화 – 플래텀

배달앱 입점 음식점 63% “수수료·광고비 과도하다” – 아시아경제

배달 앱 입점업체 10곳 중 6곳 이상은 수수료와 광고비가 과도하다고 인식. 입점업체 대부분은 공정위가 입법 발의한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에 긍정적. 배달앱 입점업체는 68.4%가, 오픈마켓 입점업체는 98.8%가 공정화법 제정에 찬성한다고 응답.


💡 배민의 6%대 수수료가 높은 것인지는 약간의 의문이 있습니다. 과거 오프라인 플랫폼이었던 백화점수수료가 30%이상, TV플랫폼이었던 홈쇼핑수수료가 40%이상, 모바일어플리케이션 플랫폼인 애플과 구글의 수수료가 30%, 오픈마켓수수료가 10%를 훌쩍 넘는 것을 생각해보면 말이죠. 물론 소상공인 중심의 시장인 배달시장의 특수성이 반영된 것이기는 하지만…그래서일까요 아직도 배민은 영업이익이 마이너스라고 하네요.

티몬 “판매수수료 -1%” 파격…상장 겨냥 판매자 늘리기 – 한겨레

마이너스 수수료 정책은 파트너사와의 상생협력을 기반으로 플랫폼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기획했다는 설명.


💡 ‘의미’ 있는 소비를 하고 싶어하는 MZ세대, ‘상생’이라는 키워드가 e커머스업계에도 화두가 되었네요. 네이버주문, 6월까지 중소상공인(SME)에 결제수수료 무료이커머스, 소상공인 상생 판로 확대-이데일리

서울우유, 쿠팡 전용 3L 대용량 흰우유 선보인다…“이커머스 채널 강화” – 아주경제

4월 초순께 출시 예정. 코로나19 장기화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흰 우유 소비가 늘어. 프리미엄 브랜드 ‘나100%’로 대형마트와 편의점 등 오프라인 채널과 온라인 채널까지 빠르게 확장.


💡 변화하지 않을 것 같던 서울우유도 뉴노멀시대에 변화를 꾀하는 군요. 고객에 맞게, 채널에 맞게 컨텐츠를 특화해 유통해야 살아남는 시대입니다. mass하게 생산해서 떠 넘기듯 팔던 때는 끝!

 e커머스 뉴스 한줄 요약
한성숙 네이버 “韓 이커머스 1위 지키고, 해외 공략” – 지디넷코리아
주주 서한 통해 이커머스 방향성 및 계획 밝혀

전주시 GS25 통해 ‘시내버스 정기권’ 판매
시내버스 정기권, 오는 5월부터 전주·완주 지역 GS편의점 190여 개소에서 상시 판매

‘배민’ 우아한형제들 매출 1조 넘었다 – 매일경제
전년보다 94.4%증가, 10년 만에 업계에서 처음으로 1조 원 시대를 열어…

11번가, 업계 최초 해외직구 선물하기 서비스 도입 – 에너지경제
업계 최초, 인기 패션잡화, 가전, 건강식품 등 2,400만여 개의 해외직구 상품

 

 탐나오 Event
 주목 탐나오 New Face~^^
 
 
 탐나오 Hot Clip
“데일리제주관광”은 매일 아침 5분, 제주관광과 관련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제주 관광 라이브”는 제주도의 실시간 영상을 제공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