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나오 뉴스레터 101호] 한 주간 온라인 쇼핑과 제주 여행 관련 소식

제주특별자치도에서 지원하는 제주여행 공공플랫폼 ‘탐나오‘에서 매주 월요일, 한 주간 이슈가 되었던 제주/여행/쇼핑 관련 소식을 브리핑해 드립니다. 탐나오와 함께 최신 트렌드를 확인하세요!
  제주여행 Hot Issue 
전국 봄꽃 명소·산·관광지에 봄나들이 발길 이어져 – 연합뉴스

제주에서는 도심 주요 도로인 연삼로를 비롯해 전농로와 시민복지타운 등 시내 곳곳에 화사한 벚꽃이 활짝 피어 시민과 관광객들의 마음을 설레게 해. 전국에서 손꼽히는 벚꽃 명소로 이름이 높은 경남 창원시 진해구 여좌천 주변에도 꽃망울을 터뜨린 연분홍 벚꽃이 상춘객을 맞이했다고…

호텔스닷컴 등 5곳 ‘타 사이트에 싸게 팔지 마’ 조항 고쳐 – 연합뉴스

공정위는 인터파크, 호텔스닷컴, 부킹닷컴, 아고다, 익스피디아 등 5개 호텔예약 플랫폼이 국내 호텔과 맺은 계약조항을 심사해 ‘최혜국대우 조항’을 시정했다고…이와는 별도로 플랫폼이 호텔 웹사이트보다는 같거나 유리한 조건으로 상품을 제공할 수 있게 한 조항은 허용했다”고…

호텔의 진화, 로봇이 배달하고 AR·VR로 세계여행 – 여행신문

호텔업계가 언택트 신기술을 호텔 서비스에 접목해 차별화. 코오롱호텔 AI 골프 카트 서비스인 ‘헬로우캐디’, L7 강남은 호텔용품을 인공지능이 탑재된 로봇이 배달해 주는 ‘딜리버리 로봇’ 서비스를. 웨스틴조선서울은 객실에서 즐기는 VR 여행 콘텐츠 제공.

여행업협회, ‘해외입국자 자가격리 14일’ 단계별 완화방안 제안– 연합뉴스

 제시한 완화 방안은 1∼4단계로 이뤄져 있습니다. 1단계는 공항에서 검사 후 음성이 확인되면 10일간 자가격리를 시행하고 2단계는 7일, 3단계는 5일, 백신 여권 소지 대상자에게 적용되는 4단계는 아예 자가 격리를 하지 않는다는 방안


💡 
 

카약, 호텔 사업 진출…포스트 코로나 경쟁 ‘후끈’ – 굿모닝경제

카약 마이애미비치는 여행 검색엔진 서비스 등을 운영하는 카약이 선보이는 첫 번째 호텔. 카약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매끄럽게 잇는 서비스가 카약 마이애미비치 호텔의 특징이라고 소개


💡 

 제주여행 뉴스 한줄 요약
뉴욕 관광산업 회복 조짐…호텔 객실 점유율 47 | 한경닷컴
작년 뉴욕 방문객 2천230만명→올해 3천640만명 예상

‘백신 여권’ 들고 자유롭게 여행… WHO는 “불평등 심화” 난색
각국 ‘백신접종 증명서’ 도입 잰걸음

대만-팔라우 내달부터 트래블 버블…격리 없이 여행 – 연합뉴스
대만이 팔라우와 ‘트래블 버블'(비격리 여행 권역)을 내달 1일부터 시작한다고. 대만 여행단 110명이 내달 1일 팔라우로 처음 출발 예정.

신한카드, 제주도 특화 카드 혼디모앙 출시
제주도 내 소비에 최대 10% 할인 또는 적립을 제공. 혼디모앙은 ‘한데 모으다’는 뜻의 제주도 방언

카카오T, 렌터카 중개도 한다…현대캐피탈 ‘딜카’인수 – 중앙일보
딜카 인수로 쏘카·그린카 등 차량 공유 서비스와 경쟁할 것으로 전망

코로나 검사 결과 앱으로 증명…대한항공 ‘트래블패스’ 시범운영 – 제민일보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와 손잡고 코로나19 검사 결과를 간편히 증명하는 ‘트래블 패스'(Travel pass)를 5월부터 시범 운영

비짓제주, 신속한 정보 반영 위해 홈페이지 개선한다 – 제민일보
관광업체 전용 콘텐츠 수정 신청 기능을 비짓제주 메인 페이지 하단에 추가. 25일부터 순차적으로 반영.

한라산 탐방예약 시행 두 달…성판악 등반객 60% 감소 – 뉴제주일보
한라산국립공원 탐방예약제가 본격 시행되면서 탐방인원에 제한이 생겼기 때문.

환경보전기여금 관광객 개별 납부로 가나 – 제주일보
관광업계에 최대한 협조를 구할 예정이지만 내홍이 심할 때는 관광객에 직접 부과하되 보다 편리하고,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조정…

중국인 10명 중 8명 “코로나19 이후 제주 방문” – 제민일보입니다.
제주의 코로나19 위기 대응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한다는 제주연구원 설문 조사 결과. 

오설록 딜리버리 스토어 배달 서비스 – 제주의 대표 신문 한라일보
배달앱으로 연동·노형동·오라동 대상

 Weekly e-커머스 News 
신세계-네이버 혈맹 맺었다… 2,500억원 규모 지분 교환 – 민중의소리

이마트는 1,500억 원, 신세계는 1천억 원을 각각 네이버와 지분을 교환. 네이버는 가입자 수와 입점상인 수를, 이마트는 신선식품과 오프라인 매장을 기반으로 한 물류센터를 기반으로 공조할 가능성이 높아 보여…


💡 

올리브영 “온라인에서 산 물건 ‘반품’도 매장에서 받아드려요” – 한겨레

오프라인 매장을 배송과 반품을 함께 처리할 수 있는 배송기지로 활용하려는 움직임 활발. 올리브영은 ‘스마트 반품’ 서비스를 시작하며 온라인 구매 상품을 오프라인 매장에서 반품할 수 있게해… 다른 이커머스와의 차별을 위한 전략으로 풀이.


💡 

 e커머스 뉴스 한줄 요약
네이버 스마트주문, ‘착한가게’ 성장 돕는다 -지디넷코리아
7월 말까지 적립 혜택 기획전 진행

온라인 팝업스토어부터 라방까지… 식품업계, ‘랜선 마케팅’ 박차 – 머니S
정식품의 팝업스토어는 레시피, 상품 정보 등을 제공. 롯데제과는 라방에서 과자 정기구독 서비스. 온라인 시식회로 궁금증을 자아내는 방식도…

네이버, 식당·카페 등 장소 리뷰 별점 평가 없앤다 – 디지털투데이
AI 기반으로 방문객들이 자주 사용하는 키워드를 보여주는 ‘태그 구름’ 서비스를 도입. 별점이라는 일률적인 척도로는 담기 힘들었던 업체의 장점과 개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

구글, 앱마켓 결제수수료 30%에서 15%로 낮춘다 – 아시아경제
낮아진 수수료가 적용되는 대상은 연 매출 100만 달러 이하의 중소 규모 개발사. 기업의 매출 10억 원을 기록했을 때 기존에는 구글에 3억 원의 수수료를 내야 했으나 앞으로는 1억 5,000만 원만 지불.

맛·가격보다 착한 소비… 건강 트렌드에 ‘유기농’ 열풍 – 천지일보
면역 증진과 믿을 수 있다는 소비심리까지 겹쳐 강세. 실제 유기농 전문매장의 작년 매출은 코로나19 이전 대비 오프라인 매출은 30%, 온라인은 80% 이상 올라.

“150만 채식시장 잡아라” 세븐일레븐, 웰빙 간편식 출시 – 아시아경제
2018년 150만 명으로 10년간 10배 증가. 투썸플레이스와 버거킹 등에서 대체육을 활용한 메뉴. 채식 인구는 앞으로 계속 증가할 것으로 전망.

 탐나오 Event
 주목 탐나오 New Face~^^
 
 
 탐나오 Hot Clip
“데일리제주관광”은 매일 아침 5분, 제주관광과 관련된 소식을 전해드립니다
“제주 관광 라이브”는 제주도의 실시간 영상을 제공 중입니다
Facebook
Instagram
YouTube
Website